EC2는 Elastic Compute Cloud의 약자로 Elastic의 '탄력적인'의 뜻은 사용한 만큼 돈을 지불하고 비용적인 부분뿐만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성능, 용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의미도 가지고 있습니다.
EC2을 포괄적으로 말하면 아마존 웹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입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등의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정리하면 아마존에서 가상의 컴퓨터를 한 대 빌리는 것과 같습니다.
아마존 EC2를 통해서 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일은 웹서버를 설치하고 웹 서버를 통해서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요청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 EC2 중요 용어
*인스턴스는 1대의 컴퓨터를 의미하는 단위이고 AWS에서 컴퓨터를 빌리는 것을 인스턴스를 생성한다고 합니다.
*AMI는 소프트웨어 구성이 기재된 템플릿입니다. 필요한 용도에 따라 가상의 컴퓨터인 인스턴스의 다양한 운영체제에 대한 선택이 가능합니다. EC2에서는 AMI를 통해 다양한 템플릿을 제공하고 있어서 필요에 따라 손쉽게 운영체제를 선택하고 구성할 수 있습니다. 운영체제뿐만이 아니라 CPU와 RAM, 용량까지도 손쉽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 EC2 인스턴스 생성 방법
1. 먼저 AWS 계정에 로그인 합니다. 그 이후 사진 왼쪽 상단의 서비스에서 EC2 선택
2. AWS 메뉴에서 EC2 서비스를 검색하고 접속하여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클릭하여 인스턴스 생성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실습은 서울 리전에서 진행합니다.
3. 가장 먼저, 생성할 인스턴스의 이름을 설정하는 과정입니다. 해당 인스턴스를 알아볼 수 있도록 적절할 이름을 작성합니다. 여기에 작성한 이름은 인스턴스의 이름임과 동시에 인스턴스의 태그로 자동 설정됩니다. Key : Name Value : (지금 작성한 인스턴스의 이름)
4. 용도에 맞게 AMI를 선택하는 과정입니다. 해당 과정에서는 Ubuntu 인스턴스를 생성해 보겠습니다. 프리 티어 사용 가능 태그를 확인하여 과금이 되지 않도록 유의합니다. * Ubuntu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20버전 이하를 권장합니다. 이후 배포 자동화 실습 때 22 버전은 이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인스턴스 유형을 선택하는 과정입니다. 생성하는 인스턴스의 CPU, RAM, 용량에 대한 선택이 가능합니다. 실습 과정에서는 프리 티어로 사용 가능한 t2.micro를 선택하겠습니다.

6. 인스턴스 유형을 선택하고 나면 키 페어를 연결할 수 있는 항목이 보입니다. [새 키페어 생성]을 클릭하여 새로운 키 페어를 생성합니다.

7.생성되는 인스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SSH 연결을 통한 원격접속이 필요합니다. 원격접속을 위해서 필요한 Key를 생성하고 다운로드하는 과정입니다.
8. 이제 인스턴스 생성을 클릭하면 하나의 인스턴스가 생성됩니다.
'JAVA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Security Group의 개념과 활용방법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자 (0) | 2022.08.0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