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 와 ')' 로만 이루어진 문자열이 있을 경우, '(' 의 개수와 ')' 의 개수가 같다면 이를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여기에 '('와 ')'의 괄호의 짝도 모두 맞을 경우에는 이를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어, "(()))("와 같은 문자열은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 이지만 "올바른 괄호 문자열"은 아닙니다.
반면에 "(())()"와 같은 문자열은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 이면서 동시에 "올바른 괄호 문자열" 입니다.
'(' 와 ')' 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w가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 이라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올바른 괄호 문자열"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1. 입력이 빈 문자열인 경우, 빈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2. 문자열 w를 두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 u, v로 분리합니다. 단, u는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로 더 이상 분리할 수 없어야 하며, v는 빈 문자열이 될 수 있습니다.
3. 문자열 u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 이라면 문자열 v에 대해 1단계부터 다시 수행합니다.
3-1. 수행한 결과 문자열을 u에 이어 붙인 후 반환합니다.
4. 문자열 u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아니라면 아래 과정을 수행합니다.
4-1. 빈 문자열에 첫 번째 문자로 '('를 붙입니다.
4-2. 문자열 v에 대해 1단계부터 재귀적으로 수행한 결과 문자열을 이어 붙입니다.
4-3. ')'를 다시 붙입니다.
4-4. u의 첫 번째와 마지막 문자를 제거하고, 나머지 문자열의 괄호 방향을 뒤집어서 뒤에 붙입니다.
4-5. 생성된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 p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주어진 알고리즘을 수행해 "올바른 괄호 문자열"로 변환한 결과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 사항]
- p는 '(' 와 ')' 로만 이루어진 문자열이며 길이는 2 이상 1,000 이하인 짝수입니다.
- 문자열 p를 이루는 '(' 와 ')' 의 개수는 항상 같습니다.
- 만약 p가 이미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라면 그대로 return 하면 됩니다.
[풀이]
해당 문제는 구현해야 하는 부분이 여러개 있어서 약간 까다로웠습니다.
첫번째로 균형잡힌 문자열을 분리된 균형잡힌 문자열 u와 나머지 문자열 v로 나누는 코드입니다.
int right = 0;
int left = 0;
String u = "";
String v = "";
int count = 0;
while (right == 0 || left == 0 || right != left) {
char operator = s.charAt(count);
u += operator;
if(operator=='(') right++;
else left++;
count++;
}
v = s.substring(count);
변수 right와 left는 각각 '('와 ')' 개수를 의미합니다. while문을 통해 right와 left가 모두 0일때, 즉 시작 시점을 제외하고 left 변수의 값과 right 변수의 값이 같아질 때 while문을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count 변수를 통해 문자열이 얼마나 u변수에 할당되었는지 범위를 확인하고 count 이외의 문자열 인덱스를 v 변수에 할당했습니다.
다음은 u문자열이 올바른 괄호 문자열인지 확인하는 코드 입니다.
private static boolean getCheck(String u) {
Stack<Character> st = new Stack<>();
for (int i = 0; i < u.length(); i++) {
if(st.isEmpty()) st.add(u.charAt(i));
else{
switch (u.charAt(i)) {
case ')':
if(st.peek()=='(') st.pop();
break;
default:
st.add(u.charAt(i));
break;
}
}
}
if(st.isEmpty())return true;
return false;
}
}
getCheck()라는 boolean 타입 메서드에 u문자열을 전달하여 호출하였습니다. 참고로 위 코드는 괄호 활용 문자 문제에 굉장히 유용한 코드입니다. 대부분 비슷한 문제들은 위같은 코드 방식을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최종 코드입니다.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static int left=0;
static int right=0;
public String solution(String p) {
String answer = getReturn(p);
return answer;
}
private static String getReturn(String s) {
if (s.length() == 0) {
return "";
}
int right = 0;
int left = 0;
String u = "";
String v = "";
int count = 0;
while (right == 0 || left == 0 || right != left) {
char operator = s.charAt(count);
u += operator;
if(operator=='(') right++;
else left++;
count++;
}
v = s.substring(count);
boolean check = getCheck(u);
if(check){
return u + getReturn(v);
}else{
return '(' + getReturn(v) + ')' + getString(u);
}
}
private static String getString(String u) {
if (u.length() == 2) {
return "";
}else{
u=u.substring(1,u.length()-1);
String result = "";
for (int i = 0; i < u.length(); i++) {
if (u.charAt(i) == '(') {
result += ')';
}else{
result += '(';
}
}
return result;
}
}
private static boolean getCheck(String u) {
Stack<Character> st = new Stack<>();
for (int i = 0; i < u.length(); i++) {
if(st.isEmpty()) st.add(u.charAt(i));
else{
switch (u.charAt(i)) {
case ')':
if(st.peek()=='(') st.pop();
break;
default:
st.add(u.charAt(i));
break;
}
}
}
if(st.isEmpty())return true;
return false;
}
}
'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_LEVEL_2'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수식 최대화 (2020 카카오 인턴십)-JAVA (0) | 2022.06.01 |
---|---|
[프로그래머스] 거리두기 확인하기(2021 카카오 채용연계형 인턴십)-JAVA (0) | 2022.05.31 |
[프로그래머스] 메뉴 리뉴얼 (2021 KAKAO BLIND RECRUITMENT)-JAVA (0) | 2022.05.29 |
[프로그래머스] 짝지어 제거하기 (2017 팁스타운)-JAVA (0) | 2022.05.27 |
[프로그래머스] 더 맵게 (Heap)-JAVA (0) | 2022.05.25 |